전체 글(118)
-
Day 9-CRON, RSYNC, 서비스와 데몬
* CRON - 리눅스의 반복 작업을 예약할 수 있는 프로그램. - 윈도우의 스케줄러와 유사. Crontab 명령을 이용한 스케줄 정의 형식 : crontab [옵션] -e : 스케줄 등록(vi 환경) - l : 스케줄 확인(출력) - r : 스케줄 삭제(거의 사용하지 않음) 명령어 형식 [분(0~59)] [시(0~23)] [일(1~31)] [월(1~12)] [요일(0(일)~6)(토)] [작업내용] [#-#] : 실행할 시간 범위를 지정 [#-#/#] : 범위내에서 실행 간격 지정 00 9-18/2 1-15/3 1-12/4 1-5 ex) 00 0-23 * * * rdate -s time.bora.net : 매시간마다 실행 0-59/10 * * * * chown -R data.st /home/data : ..
2019.11.28 -
Day 8-리눅스 프로세스 및 RPM&YUM
* 리눅스의 파일 시스템과 파티션 UUID - 매체나 장치에 붙어있는 고유 이름으로 디스크의 위치가 바뀌어도 유지. - UUID를 이용해서도 마운트와 언마운트가 가능. xfs_admin - 파티션의 파라미터를 변경하거나 확인할수 있지만 사용하는 것은 추천되지 않음.(중요도 낮음) findfs - UUID나 라벨명으로 장치명 확인(중요도 낮음) 자동 마운트(/etc/fstab) - /etc/fstab 파일은 시스템 시작 시 자동으로 마운트할 파일 시스템의 목록이나 옵션을 저장. - 가상 드라이브를 부팅시마다 마운트 해주고 싶다면 /etc/fstab에 명령어를 쳐주면 되지만 오타등의 실수가 있을 경우 부팅이 되지 않으므로 rc.local 파일에 마운트 명령어를 추가해주는 것이 안전. - 형식 ->mount ..
2019.11.27 -
CentOS 5.7 설치
VMware -> File -> New Virtual Machine Typical 선택후 Next I will Install the operating system later 선택 원하는 위치에 지정 후 원하는 만큼의 디스크 크기 설정 후에 -> Finish Edit Virtual machine settings-> 필요없는 디바이스 삭제, CD/DVD 드라이브 Use ISO Imagefile에 받아놓은 이미지 파일 투입. 고정 IP를 설정할 계획 이므로 네트워크 어댑터는 NAT에서 Bridge로 변경 enter ISO 파일이 문제가 없다면 Skip 설치 언어 : 한국어, 시스템에 사용할 키보드 : 영어 선택 사용자 레이아웃 만들기 선택 위와 같은 설정으로 파티션 추가 할당받은 IP, Netmask(여기서 ..
2019.11.26 -
Day 7-IP alias, 리눅스 파일시스템
* IP Aliases - 한 개의 인터페이스에 두 개 이상의 IP주소를 설정하는 방법. - 정적인 방법과 일시적인 방법 2가지가 존재. 정적인 방법 # cd /etc/sysconfic/network-scripts # cp ifcfg-ens32 ifcfg-ens32:0 # vi ifcfg-ens:32:0 // 설정 파일의 NAME, DEVICE의 값과, IPADDR값을 변경 후 저장 #systemctl restart network // 시스템 재시작 # ifconfig // ens 32:0이 생성되있는 것을 확인 2. 일시적인 방법 #ifconfig ens32:0 192.168.10.188 #ifconfig #vi /etc/rc.d/rc.local // 단, 이 방법은 재부팅하거나 네트워크를 재시작할때마..
2019.11.26 -
Day 6-파일 구조와 퍼미션, 리눅스 네트워크 설정, 네트워크 명령어
* 리눅스 파일 구조 - ls -al 명령어로 확인 가능. - 디바이스 파일은 /dev에 저장되어 있음. 파일 종류 - : 일반 파일 d : 디렉토리(리눅스에서는 색으로도 구분되어 있음) l : 링크 파일 b(block) : 블록 디바이스 파일(운영체제에서 정한 블록 단위로 캐시 가능) c(character) : 문자 디바이스 파일 * 퍼미션 - rwx의 3종류로 나뉘며 8진수로 표기함. r은 읽기, w는 쓰기, x는 실행을 뜻함. - 소유자(user) : 이 파일의 소유자. 첫 번째 퍼미션의 권리를 가짐 - 그룹 소유자(group) : 이 파일의 그룹 소유자 : 두 번째 퍼미션의 권리를 가짐 - 이외 모든 사용자(other) : 소유자와 그룹소유자를 제외한 일반 사용자. 세 번째 퍼미션의 권리를 가짐...
2019.11.25 -
Day 5-리눅스 사용자 관리
* 네트워크를 Bridge가 아닌 NAT로 설정하기(노트북에서도 VMware를 사용하기 위해) VMware - Edit - Virtual Network Editor - VMnet8 -NAT setting에서 서브넷 IP, Gateway를 설정 ex) 서브넷 : 192.168.11.0 Gateway : 192.168.11.1 * 리눅스 사용자 관리 목적 : 사용자들이 좀 더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환경을 설정해 주는게 주된 목표. 말그대로 사용자 관리이므로 일반 사용자 계정이 아닌 관리자 계정(root)으로 로그인 해야 함. /etc/passwd : 사용자 등록 정보. 형식 : 계정:암호:UID:GID:주석:홈디렉토리:쉘 - 사용자 패스워드의 경우 shadow password 사용 - useradd 명령..
2019.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