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치(3)
-
Day17-apache(3)
[실습]3개의 계정 st01, st02, st03이 각각 하나의 홈페이지를 가지고 192.168.10.188/~st01 192.168.10.188/~st02 192.168.10.188/~st03로 각각 접속할 수 있게 설정 1.httpd-userdir.conf의 파일 설정 확인 UserDir public_html을 UserDir html로 변경 Directory의 경로도 public_html을 html로 변경. 아래부분은 아파치가 모든 파일에 접속할 수 있는 권한을 주는 설정으로 기본적으로 설정이 되어잇으니 그냥 써도 무방. 2.httpd.conf 에서 userdir.conf에 대한 주석 해제 3. useradd 명령으로 st01, st02, st03을 추가후에 전부 chmod 755로 권한 수정 후에 ..
2019.12.12 -
Day16-apache(2)
* 가상 호스트 - 가상 IP를 한개 더 만들어 줘도 운영하는데 지장이 없다. IP 기반 호스트(IP기반으로 가상 호스트 설정) - 제일 간편한 방법이지만 IP 수의 제한이 있기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있다. 설정 방법 DocumentRoot 홈디렉토리 ServerName IP또는 도메인명 -> Document와 ServerName만 수정해주면 되며 web계정에서 수정해주면 된다. 새로만든 디렉토리에 접근 가능하도록 퍼미션을 줘야 한다. [실습]IP기반으로 가상 호스트 만들어보기 1. 먼저 ip를 추가해준다 #ifconfig ens32:1 192.168.10.189 // 가상 ip 추가 2. httpd.conf에 기존의 document 루트와 directory 설정 주석처리 3. httpd.conf에 다음과..
2019.12.11 -
DAY15-Apache
* apache의 개요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 Web application layer protocol - Client/server model Client : browser는 웹용 client app, 질의를 전달하고 요구한 web page를 보여주는 기능을 담당. Server : Web server로 client의 질의에 응답하고 여러 web object를 client에 전송. - HTTP 1.0 : RFC 1945 - HTTP 1.1 : RFC 2068 * 아파치 설치 과정 1.httpd-2.2.32.tar.gz 버전을 /usr/local/ 에 다운로드. 2. # cd /usr/local/ 3. # tar xvfz httpd-2.2.32.tar.gz 4. # ..
2019.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