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p(3)
-
보안 명세 구현(FTP 서버)
목차 1. 보안 명세 요구 사항 확인 1-1. 보안 명세 요구 사항 확인 2. 사전 설정 2-1. ftp 설치 확인 및 설치 2-2. ftp 시작 3. 보안 명세 구현 3-1. 자료 배포 디렉토리 설정 3-2. root를 제외하고 자신의 홈 디렉토리를 벗어날 수 없게 설정 3-3. ftpadmin 계정만 파일 업로드 가능 3-4. 리눅스 모든 사용자가 /home/ftp에서 자료 다운로드가 가능하도록 설정 3-5. 일반 사용자 업무 계정인 st01, st02, st03 계정은 ftp 접속을 불허. 4. 보안 명세 구현 확인 4-1. 자료 배포 디렉토리 설정 확인 4-2. 일반 계정의 chroot 적용 확인 4-3. ftpadmin 계정의 파일 업로드 가능 확인 4-4. st01, st02, st03의 ft..
2020.02.07 -
네트워크 - 전자우편&FTP
* 전자우편 구성 요소 -사용자 agent - mail server - SMTP(simple mail TP) user agent(=mail reader) - mail message를 읽고 쓰고 전달, 저장 구성하는 등의 역할 - server에 message를 전달하거나 server로부터 수신하는 역할 - ex) Outlook, elm, Eudora,,, * mail server mailbox - 사용자에게 온 message를 저장. - 초창기 메일 서버는 보낸 사람을 추적할 수 없어서 보안상 문제가 발생했는데 mailbox가 있는 사람만 메일을 보낼 수 있게 설정해서 해결. message queue - 다른 메일 서버로 전송될 message를 임시로 저장하는 queue. - user가 보내려는 메일을 s..
2020.02.06 -
Day 2-유닉스 기본 명령어, FTP에 접속하는 방법
* 유닉스 기본 명령어 디렉토리(=폴더) - 디렉토리는 트리구조로 되어 있음. - 유닉스의 최상위 디렉토리 : root(/) pwd - 현재 위치 확인 ~ - 각 계정의 홈 디렉토리라는 뜻 #ln -s /home/data data // /home/data라는 파일을 현재 위치에 아이콘을 만들겠다. mkdir : 디렉토리 생성 -p : 만약에 상위 디렉토리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그 상위 디렉토리까지 생성 rmdir : 디렉토리 삭제(빈 디렉토리인 경우에만) -> 이러한 이유로 잘 쓰지 않음 ls : 현재 디렉토리의 목록을 출력(윈도우의 dir과 같음) -l : 파일 상세정보 확인 -al : 히든 파일까지 확인(히든 파일은 파일명이 .으로 시작) 리눅스는 윈도우와 달리 확장자란 개념이 없어서 .도 그냥 파일명..
2019.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