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s(4)
-
Day18-DNS 복습
client가 www.poly.edu의 IP를 원할때 local DNS서버(yahoo.com DNS)의 동작 과정 1. client가 local DNS인 yahoo.com DNS에게 www.poly.edu의 IP를 질의. 2. yahoo.com DNS는 Root DNS에게 edu DNS의 IP를 질의. 3. Root DNS는 yahoo.com DNS에게 edu DNS의 IP를 알려줌. 4. yahoo.com DNS는 edu DNS에게 poly.edu DNS의 IP를 질의. 5. edu DNS는 yahoo.com DNS에게 poly.edu DNS의 IP를 응답. 6 yahoo.com DNS가 poly.edu DNS에게 www.poly.edu의 IP를 질의. 7. poly.edu DNS가 yahoo.com ..
2019.12.13 -
DAY 14-DNS 서버(4)
[실습]DNS 서버 구축해보기 루트 네임 서버는 캐시 파일이 필요없기 때문에 힌트 타입이 없음. -루트의 named.ca (루트 서버를 만들어주는 사람이 반드시 파일로 배포) 1. 루트 서버 넷 2. 루트 서버의 아이피만 적혀있으면 됨 1. TLD DNS의 named.conf, resolv.conf 수정 TLD DNS의 네임서버는 자기 자신의 ip 2. TLD DNS의 /var/named에 jjh.zone 파일 설정 sub domain 하위 도메인에 대한 정보 추가. 하위의 네임서버는 cash 서버로 설정 3. 하위 DNS의 named.conf 파일 설정 4. /var/named/ 에 bst15.agh.zone 파일 설정
2019.12.06 -
DAY 12-DNS 서버(2)
named.conf 서비스가 시작될 때 맨 처음 읽히는 마스터 파일. zone : 질의를 구체적인 파일과 연결해준다. DNS 서비스의 근간. options : zone 파일의 경로나 덤프 파일의 이름 등을 지정 zone 영역의 설정 zone "서비스 대상 영역" IN { type [ master | slave | hint ]; file " zone 파일명"; allow-update {[ none | 2차 DNS 서버 IP ] ; }; masters { master DNS 서버 IP; }; }; master : 내가 가지고 있는 정보. hint : 내가 가지고 있지 않은 정보. allow-update : 마스터 서버가 슬레이브 서버에 참조를 허용해줄때 설정 masters : 슬레이브 서버가 마스터 서버에 ..
2019.12.04 -
Day 11-DNS 서버
* DNS 서버 - 클라이언트가 도메인(호스트 네임)의 IP정보를 요청하면 DNS를 조회해서 IP 주소를 알려주는 역할로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 HTTP, FTP, SMTP등 사용자가 제공한 호스트 네임을 IP로 변환하는데 이용. -인터넷의 가장 중요한 기능중 하나이며 Network edge에 구현. DNS를 중앙 집중식이 아닌 분산형 DB 시스템으로 운영하는 이유 1. 서버 장애 2. 트래픽 집중 3. 중앙 서버까지의 거리 4. 관리 DNS 구조 사이트명.com. -> 에서 .은 루트 DNS라고 함 cache DNS cache DNS는 루트 DNS 서버의 정보만 가지고 있고 나머지 DNS 서버의 정보는 직접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루트 DNS서버의 하위 서버에 질의한다. Client가 www...
2019.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