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 7-IP alias, 리눅스 파일시스템

2019. 11. 26. 09:50Security/리눅스

* IP Aliases

- 한 개의 인터페이스에 두 개 이상의 IP주소를 설정하는 방법.

- 정적인 방법과 일시적인 방법 2가지가 존재. 

 

정적인 방법

# cd /etc/sysconfic/network-scripts

# cp ifcfg-ens32 ifcfg-ens32:0

 

# vi ifcfg-ens:32:0

// 설정 파일의 NAME, DEVICE의 값과, IPADDR값을 변경 후 저장

 

#systemctl restart network

// 시스템 재시작

# ifconfig

// ens 32:0이 생성되있는 것을 확인

 

2. 일시적인 방법

#ifconfig ens32:0 192.168.10.188

#ifconfig

#vi /etc/rc.d/rc.local

// 단, 이 방법은 재부팅하거나 네트워크를 재시작할때마다 사라지므로 재부팅시에 자동 설정되게 하고싶다면 설정 파일에 ifconfig ens32:0 192.168.10.188를 설정.

 

* 파티션(파일시스템)

- 하드디스크 등의 드라이브를 논리적으로 분할 하는 것.

- 리눅스에서는 주로 xfx, ext4를 사용하고 윈도우는 NTFS를 주로 사용.

 

MBR

- 운영체제가 사용하지 않음. 컴퓨터가 켜지면 MBR을 메모리에 올린 후 거기서 운영체제 프로그램을 실행.

 

파티션의 종류

- Primary partition : 4개로 분리 가능. 4개 이상의 파티션을 사용하고 싶다면 Extended Partition을 만들어 줘야 한다. 

- Extended partition : Primary partition에서 분리된 디스크를 또 분할해서 사용하고 싶으면 Extended partition이 필요. 그냥은 사용할수 없고 logical partition으로 사용해야 함.

- Logical partition  : Extended partition내에서 분할된 디스크이며 사용방식은 Primary partition과 동일. 

- Primary partition과 Extended partition은 합쳐서 최대 4개까지만 생성 가능.

- 하드드라이브를 의미하는 장치 파일과 파티션을 의미하는 장치 파일이 필요.

 

* 디스크 장치 파일

IDE(지금은 사용하지 않음)
- 디스크 자체 : /dev/hda, /dev/hdb, /dev/hdc
- 파티션 : /dev/hda1, /dev/hda2, /dev/hda3…

 

SCSI, SATA(대부분 SATA 파일 사용)
- 디스크 자체 : /dev/sda, /dev/sdb, /dev/sdc
- 파티션 : /dev/sda1, /dev/sda2, /dev/sda3…

 

df : 디스크의 마운트 상태와 용량을 확인

-T : 파일 시스템 타입까지 출력

-h : 읽기 쉬운 단위로 출력

fdisk : 하드디스크가 추가됐을때 파티션을 생성하는(나누는) 명령어

형식 : fdisk 디스크명

p : 현재 파티션 상태 출력
d : 파티션 삭제
n : 파티션 생성
t : 파티션 변경
w : 저장 후 종료
q : 취소 후 종료

 

mkfs : 파티션된 디스크를 파일 시스템 생성(포맷)하는 명령어

형식 : mkfs -t [파일시스템 타입] [파티션 명]

mkfs -t xfs -> mkfs.xfs -f
mkfs -t ext2 -> mke2fs
mkfs -t ext3 -> mke2fs -j

 

mkfs -t xfs -f [장치명]  : 파일 시스템이 이미 존재할때 강제로 덮어써서 설치해줄때 쓰는 명령어

ex) mkfs –t ext3 /dev/sda1 -> mke2fs -j /dev/sda1

 

mount : 파일 시스템을 지정한 디렉토리에 연결해서 사용 가능하게 하는 명령어

형식 : mout [-a] [-t [FStype]] [장치명] [디렉토리]

-a : /etc/fstab의 내용을 읽어 모두 mount 한다.
-t : 파일 시스템 양식을 정한다.
-o : 마운트 옵션을 추가로 지정한다.
      .Noatime : atime을 갱신하지 않는다.
      .ro : R Only로 정의한다.

 

이 3단계를 거쳐야 파티션을 사용할 수 있다.

 

[실습] 파티션 2개를 만들어서 하나는 프라이머리, 하나는 로지컬로 만들어보기. 마운트 디렉토리는 /home으로

# fdisk /dev/sdb

n -> p -> Last Sector +10G

 

n : 파티션 생성

p : 프라이머리 파티션

Last Sector : +10G(총 크기중 반을 사용)

n -> e -> n -> l -> p -> w

 

n : 파티션 생성

e : 익스텐드 파티션 

l : 로지컬 파티션 생성

Last Sector : +10G(총 크기중 반을 사용)

p : 현재 상태

w : 종료 

# mkfs -t xfs /dev/sdb1

// sdb1 파티션에 xfs 파일시스템 생성

# mkfs -t xfs /dev/sdb5

// sdb5 파티션에 xfs 파일시스템 생성

# mount -t xfs /dev/sdb1 /home/sdb1

// xfs양식의 sdb1 파티션을 /home/sdb1 디렉토리에 연결해서 사용 가능하게 함.

 

# mount -t xfs /dev/sdb5 /home/sdb5

// xfs양식의 sdb5 파티션을 /home/sdb5 디렉토리에 연결해서 사용 가능하게 함.

 

#df -T

// 디스크의 마운트 상태와 용량, 파일시스템(-T)까지 확인 가능

 

* 개념 및 용어 정리

- 컴퓨터가 켜지기전에 운영체제는 하드드라이브에 저장되어있다가 켜지면 메모리에 올린다.

- 리눅스에서는 포맷 대신 파일시스템 생성이라는 용어를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