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18)
-
PHP-조건문 if
예제를 해보기전에 post방식의 입출력 form파일을 input.html과 output.php 파일로 만들어 준다. * 조건문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의 가장 기본 기능 중 하나. 다양한 조건에 따라 실행을 달리하게 하는 것. if문 echo문은 $i의 값이 100보다 클 경우에만 출력. if문에서 조건에따라 실행도리 문장이 하나일 경우에는 위와 같이 { }(중괄호)를 생략할수 있으나 항상 써주는 습관을 가지도록 한다. 정의되지 않거나 NULL은 메모리가 할당되지 않은 상황이고 " "(빈 값)은 메모리가 할당 된 상황이다. 메모리가 할당되어서 쓰레기값이 들어있을수 있기때문에 !isset와 is_null은 FALSE로 출력한다. PHP가 빈 값과 NULL값을 다르게 본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로인한 오류가 많이..
2019.12.13 -
Day18-DNS 복습
client가 www.poly.edu의 IP를 원할때 local DNS서버(yahoo.com DNS)의 동작 과정 1. client가 local DNS인 yahoo.com DNS에게 www.poly.edu의 IP를 질의. 2. yahoo.com DNS는 Root DNS에게 edu DNS의 IP를 질의. 3. Root DNS는 yahoo.com DNS에게 edu DNS의 IP를 알려줌. 4. yahoo.com DNS는 edu DNS에게 poly.edu DNS의 IP를 질의. 5. edu DNS는 yahoo.com DNS에게 poly.edu DNS의 IP를 응답. 6 yahoo.com DNS가 poly.edu DNS에게 www.poly.edu의 IP를 질의. 7. poly.edu DNS가 yahoo.com ..
2019.12.13 -
SQL-제약 조건 이해와 설정-PK, FK
* 오라클에서 제공되는 제약 조건 - PRIMARY KEY - FOREIGN KEY - UNIQUE KEY - NOT NULL - CHECK PK(Primary Key, 주키, 주식별자) 결정 인자라고도 부른다. 테이블의 모든 데이터를 유일하게 식별해주는 컬럼이다. 테이블은 무조건 PK를 가지고 있다. 함수적 종속 레코드 내에 존재하는 항목(컬럼)들 중에 속성 B가 속성 A에 함수적 종속관계에 있다는 것은 A를 이용해서 B를 식별할 수 있다는 뜻이다. A -> B의 형태로 사용하며 A를 결정인자(Determinant), 프라이머리 키라고 부른다. A -> (B B, A -> C가 성립한다. (A, B) -> C인 경우 A -> C, B -> C는 성립하지 않는다. FK(Foreig..
2019.12.13 -
보안 영역 구성을 위한 로컬 라우터 구현
NAT는 외부 네트워크의 IP와 내부 네트워크의 IP를 다르게 쓰는 것이다. 공유기가 내부에서 외부로 나갈때 내부 IP를 외부 IP로 바꿔준다. 이 방법으로는 IP가 절약되지 않기 때문에 랜덤한 port번호를 이용한 PAT을 이용해서 많은 IP를 할당해준다. 통상적으로 PAT로 NAT라고 부른다. [실습] 1. 192.168.111.11 설치(CentOS7) 위의 IP와 게이트웨이 정보로 가상 운영 체제를 하나 설치한다. 단, 네트워크 커넥션은 Bridged가 아닌 NAT로 설정하며 설치 방법은 https://alljbut.tistory.com/13?category=738975를 참고한다. 2. 192.168.111.254와 192.168.112.1의 랜카드를 둘 다 가지는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운영체..
2019.12.12 -
Day17-apache(3)
[실습]3개의 계정 st01, st02, st03이 각각 하나의 홈페이지를 가지고 192.168.10.188/~st01 192.168.10.188/~st02 192.168.10.188/~st03로 각각 접속할 수 있게 설정 1.httpd-userdir.conf의 파일 설정 확인 UserDir public_html을 UserDir html로 변경 Directory의 경로도 public_html을 html로 변경. 아래부분은 아파치가 모든 파일에 접속할 수 있는 권한을 주는 설정으로 기본적으로 설정이 되어잇으니 그냥 써도 무방. 2.httpd.conf 에서 userdir.conf에 대한 주석 해제 3. useradd 명령으로 st01, st02, st03을 추가후에 전부 chmod 755로 권한 수정 후에 ..
2019.12.12 -
SQL-테이블 생성과 데이터 타입의 이해
* 테이블 생성과 삭제 CREATE ALTER DROP를 묶어서 이해해야한다. 형식 CREATE TABLE 테이블 ( 컬럼 데이터_타입 [DEFAULT default값] [컬럼 레벨 제약조건], 컬럼 데이터_타입 [DEFAULT default값] [컬럼 레벨 제약조건], ..... [테이블 레벨 제약조건], ..... ); 형식에 대한 설명 데이터_타입 : 컬럼에 입력될 데이터의 종류와 크기를 결정. DEFAULT : 입력이 누락됐을 때 기본 입력 값을 정의한다. Default 값을 지정하지 않으면 NULL 값이 저장. 컬럼 레벨 제약 조건 : PK, FK, UK, CHECK, NOT NULL등을 지정. ex) 나이는 19살 이상만 입력 가능 - PK : 프라이머리 키. NULL값과 중복된 값이 들어갈 ..
2019.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