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116)
-
암호학 (4)공개키 암호
* 공개키 암호 시스템 - 두 개의 다른 키를 사용 - 두 개의 키중 하나는 인터넷에 공개(공개키), 하나는 자신만이 소유(개인키) - 개인키가 따로 있기때문에 송,수신자가 상면하지 않아도 된다. - 공개키로 암호화하면 반드시 개인키로 복호화, 개인키로 암호화하면 반드시 공개키로 복호화한다. 1. A가 B에게만 평문을 전송 하고 싶다. 2. A가 B의 공개키로 평문을 암호문으로 만든다. 3. B는 개인키로 암호문을 복호화한다. 4. 따라서 개인키의 관리를 잘 해야 한다. * 공개키 암호 시스템의 응용 공개키 암호의 기밀성 공개키를 이용한 인증 - 보낸 사람이 누군지 증명(근원지 증명)이 되기때문에 부인방지가 불가능하다. - 개인키로 암호화된 문서를 암호문보다는 서명문이라고 부른다. - 누구나 서명문의 조..
2020.01.14 -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기초- (8)저장 영역 구조 및 관계 2
데이터 베이스 블록 내용 - 행 하나는 기본 블록 사이즈보다 큰 경우가 아니면 블록 하나에 저장되어야 한다. - 트랜잭션 슬롯이 확보되지 않으면 트랜잭션을 일으킬 수 없다. - 블록 내에서는 공간이 있음에도 없다고 판단하는 절편화(=단편화((Fragmentation))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compress가 자동으로 진행된다. - 블록은 I/O의 최소단위라서 블록을 통째로 읽기때문에 data내에서 행의 위차가 바뀌는 것은 상관없다. INITRANS - 트랜잭션 슬롯(인덱스나 데이터 블록에 동시에 엑세스 가능한)의 초기 갯수 지정 MAXTRANS - 트랜잭션 슬롯의 최대 갯수, 예를들어 3개의 트랜 잭션 슬롯이 사용될 경우 그 다음 insert, update 명령은 기대해야 한다. PCTFREE - 블록의..
2020.01.13 -
암호학 (3)대칭키(비밀키) 암호
* 대칭키(비밀키) 암호의 원리 비밀키 암호를 주고 받는 과정 1. 평문을 송신 2. 공격을 방해하기 위해 암호 알고리즘 프로그램을 이용해 암호문을 만드는데 key라고하는 정해진 문자열이 필요 3. 수신자가 암호문을 받는다. 4. 키를 이용해서 복호 알고리즘에 넣으면 평문이 나온다. 특징 - 키의 비밀성에 의존해야함. - 암호화 알고리즘 프로그램과 복호 알고리즘 프로그램이 같다. - 암호화, 복호화 과정은 xor 연산과 유사하다. - 다양한 알고리즘 개발, 알고리즘 수행속도가 빠름 - 사전에 키를 서로 나눠 가져야하는등의 키 분배 및 키 관리가 어렵다. - 전자 서명의 어려움(행위의 주체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다. 즉, 책임 추적성(=근원지 증명)을 입증할 수 없다.) 종류 - DES - AES - ID..
2020.01.13 -
php-php와 오라클 연동(2)
1. 과목 테이블 입력을 위한 폼 파일 작성(co_in.html) 2. 과목 테이블에 입력된 데이터를 전달 받아 입력할 프로그램을 작성(co_in.php) 3. co_in.html의 입력 부분 개선 4. co_vi.php 개선
2020.01.10 -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기초- (8)저장 영역 구조 및 관계
- 그림과 달리 Block 사이즈는 전부다 똑같다. - 그림상 RBS가 undo 테이블 스페이스다. undo 테이블 스페이스의 생성 갯수는 제약이 없지만 실제로는 1개만 사용한다. - 템포러리 테이블 스페이스마다 세그먼트는 하나만 만들어 진다. 테이블 - 데이터베이스 내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가장 일반적인 수단 - 테이블 세그먼트는 클러스터화되거나 분할되지 않은 테이블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테이블 분할(테이블 파티션) - 하나의 물리적인 영역이 너무 클때 나눠서 물리적인 영역을 만들어 준다. - 관리자는 분할된 것을 알지만 사용자는 그 사실을 모르기 때문에 똑같이 쓴다. 클러스터 - RDB의 검색시 대부분 join을 사용하는데 특정 테이블이 항상 join될 경우에 성능 향상을 위해 데이터를 같은 디스크..
2020.01.09 -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기초- (7)테이블 스페이스 및 데이터 파일 관리(2)
* 테이블 스페이스 읽기 전용 스페이스 - 체크포인트 발생 - 데이터 읽기만 가능(create, insert, update, delete 불가능) - 테이블 스페이스에서 객체 삭제 가능(drop 가능) 1. 읽기 전용인 테이블스페이스의 테이블이 지워지는 이유는? - DROP 명령어는 읽기 전용인 테이블스페이스의 데이터 파일에 접근하는 것이 아닌 딕셔너리의 정보를 통해서 테이블을 삭제하기때문에 가능하다. 즉, DROP 명령어는 읽기 전용인 부분에 접근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읽기 전용 테이블스페이스에서 실행이 가능하다. 2. 읽기 전용으로 테이블스페이스의 상태를 설정해도 테이블이 지워진다면 읽기 전용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 즉, 어떤 경우에 사용하는가? - 읽기 전용이란 더 이상의 트랜잭션이 일어날 필요가 ..
2020.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