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18)
-
php-함수
* 함수 uprn 매개 변수와 return 값이 없는 함수. 생성은 가능하지만 안 쓰는 것이 좋다. usum usum() 함수는 매개 변수 $a와 $b에 값을 받아 이를 더한 값을 반환하며 지역변수라고 한다. 지역 변수는 함수가 실행 중일때만 사용되며 함수가 종료되면 사라진다. 실제로 프로그램이 시작되는 부분은 11번째 라인부터 $k와 $a는 전혀 다른 함수이다. 첫 번째 줄의 $a, $b는 함수가 실행 될때 만들어지고 종료될때 사라지는 지역변수, 두 번째 줄의 $a, $b는 전역변수이다. 이렇게 똑같은 이름이지만 서로 완전히 다른 변수들이며 이렇게 같은 이름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피하는 것이 좋다. 함수를 이용한 프로그래밍 [예제]입력된 값 $num 만큼 소수를 구하고 구해진 소수의 합을 출력하는 프로그..
2019.12.30 -
알고리즘
1. 알고리즘 정의 어떤 문제에 대한 답을 찾는 단계적인 절차. 알고리즘의 표현 방식은 순서도를 주로 사용한다. 주요 순서도 기호 단자의 기호 대신 연결자 기호를 사용하고, 준비와 입출력 기호 대신 처리 기호를 사용한다. 알고리즘에는 직선은 없고 무조건 화살표(흐름선)을 사용한다. 변수 값 또는 수식의 결과를 저장하는 공간. 변할 수 있는 값을 의미. 좌변에는 항상 메모리값, 우변은 값을 의미한다. 연산자 변수나 값의 연산을 위해 사용되는 부호 연산자에는 나머지가 없다. 순서도 기본 모형 반복형 :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일정한 내용을 반복해서 수행하는 형태. 주로 사용한다. C타입은 보기에는 문제가 없지만 만약에 i가 101부터 시작할 경우 무한 루프를 돌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A타입과 B..
2019.12.27 -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기초-(2)Oracle 인스턴스 관리
NOMOUNT, MOUNT는 일반 사용자와는 관계가 없지만 관리자에게는 매우 중요하다. NOMOUNT : 파라미터 파일을 읽어서 메모리에 인스턴스를 띄운 상태. 파라미터 파일의 위치는 지정되어 있다. MOUNT : 메모리에 인스턴스가 정상적으로 구동되면 컨트롤 파일의 내용을 읽어서 데이터 파일과 리두로그 파일의 정보를 인스턴스의 shared pool에 저장. MOUNT에서 OPEN으로 갈때는 데이터파일과 리두로그 파일을 읽어서 넘어간다. STARTUP [NOMOUNT/MOUNT/OPEN] : 디폴트 옵션(아무것도 써주지 않는다면)은 OPEN이다. alter database mount, alter database open : 중간단계에서 윗단계로 한단계 위로 올라갈때 사용. 중간 단계에서 올라갈때는 STA..
2019.12.26 -
php-배열(2차원 배열)
* 2차원 배열 2차원 배열은 엑셀의 시트 처럼 행과 열을 가진 배열을 의미한다. 2차원 배열은 이전에 사용한 1차원 배열과 달리 킷값이 두 개인 배열로 각각의 킷값은 행과 열을 의미한다. [실습 1] [실습 2] [실습 3] [실습 4]
2019.12.26 -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기초-(1)Oracle 구조 구성 요소
* Oracle 구조 구성 요소 오라클의 기본 구성 요소 인스턴스와 데이터베이스로 구성 되어 있다. 오라클에서 shut down 명령을 치면 인스턴스가 죽고 데이터베이스는 남아 있다. - 인스턴스 : 메모리에 위치. 오라클의 논리적 구조(logical structure) - 데이터 베이스 : 하드디스크(물리적인 저장매체)에 위치. 오라클의 물리적 구조(Physical structure) - 사용자 프로세스 : 사용자가 oracle에 접속할때 사용. sqlplus와 같은 프로세스를 의미. 서버 프로세스를 통해 oracle 서버에 접속한다. - 사용자 프로세스 : 사용자의 요청한 명령을 실행하며 oracle서버와 통신을 하는 프로세스. 서버 프로세스가 문장을 실행하기 전에 하는 일(파싱) 1. 문장검사 사용..
2019.12.24 -
php-배열(1차원 배열)
* 배열 배열은 간단히 여러 개의 변수를 모아서 정의하는 것을 의미한다. 만일 30개의 변수가 필요할 때 30개의 변수에 일일이 $a, $b, $c ...와 같이 이름을 붙이는 것은 매우 힘들지만 $a[1]에서 $a[30]까지 정의하면 간단히 변수를 만들 수 있다. 이렇게 여러 개의 변수를 간단히 정의한 것을 배열이라고 한다. 1. 배열의 구조와 정의 배열은 구조에 따라 1차원 배열과 2차원 이상의 다차원 배열로 나눠진다. 배열의 차원이 늘어나도 배열의 기본 구조는 동일하므로 1차원 배열에 적용된 다양한 프로그램 기법은 다차원 배열에도 비슷하게 적용된다. * 1차원 배열 1차원 배열(선형배열)은 가장 기본적인 배열 구조로 선형으로 나열된 변수와 동일하다. ar : 배열의 이름 1, 2, 3, 4, .....
2019.12.24